1.crontab 옵션별 설명
옵션 | 설명 | 예시 |
-u [사용자명] | 특정 사용자의 크론 작업을 설정/조회/삭제 (root 권한 필요) | sudo crontab -u <user> -l |
-e | 현재 사용자의 크론 작업을 편집 | crontab -e |
-l | 현재 사용자의 크론 작업 목록 출력 | crontab -l |
-r | 현재 사용자의 크론 작업 삭제 | crontab -r |
-i | -r 옵션과 함께 사용하면 삭제 전에 확인 요청 | crontab -i -r |
-s | 일부 시스템에서 SELinux 보안 컨텍스트를 유지하며 크론 작업을 실행하는 옵션 | crontab -s |
-V | crontab 버전 출력 | crontab -V |
-x | 디버그 모드 활성화 (ext, load, misc, parse, proc) | crontab -x parse |
2. 시간 형식
분(0-59) 시(0-23) 일(1-31) 월(1-12) 요일(0-7) 실행할_명령어
- 요일에서 0과 7은 일요일을 의미함.
- * (와일드카드): 모든 값을 의미함.
- , (쉼표): 여러 개의 값을 지정할 때 사용.
- - (대시): 범위를 지정할 때 사용.
- / (슬래시): 주기적인 실행을 의미.
시간 설정 예시
설정crontab 예시설명
매일 자정 | 0 0 * * * 명령어 | 매일 00:00 (자정)에 실행 |
매시간 30분마다 | 30 * * * * 명령어 | 매시간 30분에 실행 (예: 01:30, 02:30, …) |
매 10분마다 | */10 * * * * 명령어 | 10분 간격으로 실행 (예: 00:00, 00:10, 00:20, …) |
매일 오전 9시 | 0 9 * * * 명령어 | 매일 09:00에 실행 |
평일(월~금) 오전 9시 | 0 9 * * 1-5 명령어 | 월~금요일 09:00에 실행 |
주말(토,일) 오전 10시 | 0 10 * * 6,0 명령어 | 토요일과 일요일 10:00에 실행 |
매월 1일 자정 | 0 0 1 * * 명령어 | 매월 1일 00:00에 실행 |
매주 월요일 3시 | 0 3 * * 1 명령어 | 매주 월요일 03:00에 실행 |
매년 1월 1일 자정 | 0 0 1 1 * 명령어 | 매년 1월 1일 00:00에 실행 |
특수 문자열 사용
크론탭에서는 자주 쓰이는 일정에 대해 특수 문자열
ex)
@reboot | 부팅할 때 실행 | @reboot 명령어 |
@yearly | 매년 1월 1일 실행 (0 0 1 1 *) | @yearly 명령어 |
@monthly | 매월 1일 실행 (0 0 1 * *) | @monthly 명령어 |
@weekly | 매주 일요일 실행 (0 0 * * 0) | @weekly 명령어 |
@daily | 매일 자정 실행 (0 0 * * *) | @daily 명령어 |
@hourly | 매시간 정각 실행 (0 * * * *) | @hourly 명령어 |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Linux - expect, spawn, send etc.. (0) | 2025.03.16 |
---|---|
Linux - Shebang (0) | 2025.03.16 |
Linux - find (0) | 2025.03.02 |
Linux - grep (0) | 2025.03.02 |
Linux - TOP (0) | 2025.01.12 |